2025/01 5

250131 매크로 정리1: DEEPSEEK와 다양성 풀의 확대: 악재가 아닌 호재

연휴기간동안 참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서 굵직한 건 딱 두 가지입니다. 중국발 AI 딥시크 FOMC 금리결정 이 두 가지는 별개의 영역처럼 보이지만, 잘 연결시켜서 생각하는 것이 투자의 인사이트를 가져갈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시간 순서대로 딥시크 건부터 다뤄보겠습니다.딥시크 건에 대한 이야기는 아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 AI칩의 선두주자는 엔비디아로, H100(5000~최대 9000만원까지도 갔었음)을 주력 상품으로 하고 있다 2. 상대적인 중저가 모델인 A100(밑에 V100있음)은 3000만원대로 파악되는데, 이것만으로도 CHATGPT와 별반 차이 없는 성능을 보였다 여기서 낼 수 있는 결론은  '최신형 초고성능 GPU가 없이도 소프트웨어적 스킬로 비슷한 퍼포먼스..

메타인지와 복기

기술적 분석에 의지하려 하는 보편적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공부'과정에 복기가 빠져있는 것입니다.2000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대 입학생 312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공부법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84%의 학생들이 '예습보단 복습에 더 치중하였다' 라고 밝혔습니다.그만큼 '공부'에 있어 복습은 중요한데요, 심지어 차트는 예습이 없습니다. 실시간으로 항상 변화하는 것이 차트이므로, 마치 인생과 같이 항상 실전입니다. 따라서, 사실상 차트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은 복습, 복기밖에는 없습니다.물론 책이나 강의도 중요하죠. 하지만 '모든 이론은 회색'이란 말이 있듯, 아무리 의학 서적을 공부해도 직접 메스로 살을 가르는 것은 스스로 해 보지 않고는 결코 익힐 수 없는 능력인 것 처럼,..

차미새 오리지널 매물대 보는 법 (차트브리핑 볼 때 참고)

매물대 지표 설명 🔴픽스드 레인지 볼륨 프로파일 > 고정된 영역의 매물대를 보는 지표로서, > 시작점과 끝 점을 각각 지정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매물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차미새는 보통 왼쪽에 픽스드 레인지 볼륨 프로파일을 위치시킵니다. 🟢고정 볼륨 프로파일 > 시작점을 찍는 순간, 해당 시작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매물대를 보여주는 지표로서, > 매 번 끝점을 다시 늘려줘야 최신화가 되는 픽스드 레인지 볼륨 프로파일과 달리 > 실시간으로 매물대가 자동 업데이트 되므로  > 차미새는 아주 거대해서 한 화면에서 보기 어려운 매물대 또는 > 당장 매매에 적용해야 해서 귀찮게 재설정할 필요가 없는 매물대를 볼 때  > 주로 오른쪽에 배치시켜서 봅니다.매물대 관련 오리지널 용어들 🪶홀드 > 암벽 등반에서..

선물입문자 수련법 : 수守를 넘어서 파破로

일단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아예 모르는 사람을 제외하면) 두 종류로 나뉠겁니다. 1. 선물매매를 하고 계신 분 2. 현물매매만 하고 계신 분 사실, 현물은 제가 생각하기에 반쪽짜리 시장이라서(숏이 없기에) 그리고 저부터가 현물로 투자를 시작한게 아니라서  이 방법이 큰 도움이 안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물에서도 단타와 리스크관리는 선물과 맥을 같이하기에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수파리 라는 개념에 대한 설명부터 드리겠습니다.수파리란 일본에서 말하는 무슬 수련의 형태로, 뜻은 위와 같습니다.말이 좀 어렵고, 쌈질배우는거랑 기술적 분석이랑 뭔 상관이야?라고 생각하실수 있는데  재밌는 만화 한편만 짧게 올릴게요 격투만화인데, 얘가 강적을 만나서 그야말로 복날 개잡듯 쳐맞고 있었는데요  수守 ..

차미새식 차트보는 법: 기본적인 작도의 표기방식

🪶기본적인 작도의 표기 방식 = 매물대 지표 > 계단 또는 산 처럼 보이는 파랑&노랑 조합의 데이터를 의미 > 일정 기간 동안의 매물대를 표기해주는 기능으로,  > 보통 오른쪽은 HTF상의 거대 매물대, 왼쪽은 표기가 시작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매물대를 의미 + GAP » 매물대 상에 비어있는 구간으로, 회색 타원 또는 박스로 표시 + 홀드 » 매물대 상에 툭 튀어나와 있는 구간으로, 노란색/ 붉은색/ 초록색 박스로 표시 » 홀드의 턱 - 매물대 상 홀드의 위아래 끝 구간을 의미하며, 흰 테두리 있는 박스로 표시 = 작도 > 추세선 » 2개 이상의 점을 이었다면 점선=잠정추세선, 3개 이상의 점을 이었다면 실선=확정추세선 » 파란색: 상승추세선 / 빨간색: 하락추세선 / 흰색: 상승/하락 모두 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