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20 미장 근황
= 새벽 두시까지 박스권 횡보 후 FOMC직전부터 상승,
마감 직전 1시간동안 기술적 조정 발생 후 마감
FOMC 등 지표 관련
1) 기준금리 동결 = 4.25~4.5%, 만장일치
> 예상했던 거니까 뭐....
2) QT 축소 = 국채 월 감축 한도 250억→50억$
> 유동성의 확대 : 호재 지만...(후술)
3) 점도표상 2회 전망은 유지 BUT 최소 2회 인하 예상 위원 수가 감소 (15명→11명)
> 계속 상황이 안좋아질 경우, 5월 초 FOMC에서 동결이 나더라도 점도표 분위기가 좋지 않아질 가능성 높음
4) 경제전망 요약(SEP): PCE 전망 2.5~2.8% 상향 / 인플레이션 전망 26년 2.2%, 27년 2.0% 유지
> 관세영향의 인플레이션 상승은 예상되나, '오른 뒤에 결국 꺾여서 인플레 잡힌다'는 입장
파월 연설
= 경제 괜찮다
= 침체 예측하지 않는다
= 인플레이션 단기 기대치는 상승 인정, 장기 기대는 괜찮음
= 관세 영향 일시적
= QT 축소하는 대신, 더 오래 유지할 것
🪶결국 트럼프 행정부와 의견을 완전히 같이하고 있으며,
유동성 확대 자체는 호재가 맞지만 그건
'조금씩 더 오랫동안 긴축'하려는 계획에서 발생한
'과정적 결과'일 뿐이라는 점에서
시장에 열기를 불어넣기에는 역부족이었다고 판단
트럼프 이슈 관련
= 러-우 전쟁
> 트럼프는 젤렌스키와 통화 후 모든 협상 정상적이라 말했으나,
젤렌스키는 "푸틴은 사실상 전면 휴전 제안 거부"발언
> 협상 당사자들은 다 X같다는데 지 혼자 잘됐다고 말하고 있음
🪶 관련 건은 미 국무장관 주도 논의 정리 후 공식 성명이 발표될 예정이니
그 때까지는 노이즈로 봐야 할 듯
= 중동분쟁
> 이란이 후티 반군에 대한 보급을 중단할 것을 언급
> UAE 국가안보보좌관과 만찬
🪶이스라엘 공습 재개가 미국의 동의 아래 이루어진 만큼,
하마스~이란 등 이슬람 세력권도 미국과의 의견을 조율 한 뒤에 행동을 개시할 가능성
= 중국 견제는 멈추지 않는다
> 로이터 통신은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가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제안에 따라
중국 선박에 '입항세'를 부여하는 행정명령 작성 중이라고 보도
🪶결론
시장의 상승은 '불확실성 요소가 나쁘지 않게 소멸'된 것으로 해석되며,
시장 자체는 4월 2일 상호관세 부과때까지는
신중한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
그럼 그 전의 이벤트가 중요한데
3월 28일 PCE는 '높게 나올 가능성을 본다'는 스탠스
실제 관세 부과는 지금까지 예외없이 하락트리거
PCE가 높게 나온다면 이 또한 하락 트리거
여전히 매크로적으로 하락 재료가 많이 남아있는 상태이며
분위기를 반전시킬 호재는 딱히 보이지 않음
이를 역으로 말하면 '악재의 소멸 이후 상승할 가능성'을 보고
현재 구간을 넓은 의미에서의 매집 구간으로 보는(현물)전략 유효
'차미새 > 기본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17 미일 양국의 금리결정을 앞두고. (2) | 2025.03.17 |
---|---|
백악관 암호화폐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술적분석 포함) (8) | 2025.03.06 |
250228: PCE의 선방을 기대한다 (1) | 2025.02.28 |
250131 매크로 정리1: DEEPSEEK와 다양성 풀의 확대: 악재가 아닌 호재 (0) | 2025.01.31 |
241204 투자구도投資求道 의 길 위에서, 문득. (49) | 2024.12.04 |